문화유산 > 국보/보물 > 국보 | 목조삼존불감(木彫三尊佛龕)
관련링크
- 소개
- 이용안내
- 찾아오시는길
- 참고자료
이 불감(佛龕)은 송광사(松廣寺)에서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것으로 흔히 보조국사원불(普照國師願佛)로 알려져 있다.
불감은 닫으면 한 개의 포탄형(砲彈形)인데 열면 세 부분으로 펼쳐지는 것으로 이런 형식의 불감은 조선(朝鮮) 후기(後期)까지 목조불감(木造佛龕)에 잘 계승되고 있다.
중앙의 불감에는 투각(透刻)된 연꽃대좌(臺座) 위에 본존불(本尊佛)이 앉아 있는데 머리 위에는 장막(帳幕) 모양의 천개(天蓋)가 정교하게 새겨져 있다.
본존불은 뾰족한 육계(肉계), 근엄한 얼굴, 우견편단(右肩偏袒)의 얇은 불의(佛衣), 건강한 체구(體軀) 등 당당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오른손은 가슴에 들어 시무외인(施無畏印)을 나타내었고 왼손은 무릎 위에 올려 옷자락을 잡고 있는데, 이 옷자락은 인도(印度)의 고식(古式) 옷주름에 기원을 둔 두 가닥의 옷주름 표현으로 손모양과 함께 인도양식(印度樣式)이 많이 나타나 있다.
본존불(本尊佛) 주위에 5구(五軀)의 협시상(脇侍像)이 돋을새김으로 새겨져 있고 광배(光背)가 정교하게 묘사되어 있다. 이처럼 좁은 공간 안에 여러 상(像)과 대좌(臺座), 천개(天蓋)들이 높은 돋을새김과 투각기법(透刻技法)으로 새겨져 있는데 원근법적(遠近法的)인 공간감(空間感)과 입체감(立體感)을 놀라울 정도로 잘 나타내었다.
왼쪽 불감에는 코끼리를 탄 보현보살(普賢菩薩), 오른쪽 불감에는 사자를 탄 문수보살(文殊菩薩)이 있는데 본존의 불감과 같은 수법이다.
이 문수·보현보살의 표현으로 보아 본존불의 석가불(釋迦佛)이 분명하므로 석가삼존불(釋迦三尊佛)을 봉안(奉安)한 불감으로 크게 주목된다.
불감은 닫으면 한 개의 포탄형(砲彈形)인데 열면 세 부분으로 펼쳐지는 것으로 이런 형식의 불감은 조선(朝鮮) 후기(後期)까지 목조불감(木造佛龕)에 잘 계승되고 있다.
중앙의 불감에는 투각(透刻)된 연꽃대좌(臺座) 위에 본존불(本尊佛)이 앉아 있는데 머리 위에는 장막(帳幕) 모양의 천개(天蓋)가 정교하게 새겨져 있다.
본존불은 뾰족한 육계(肉계), 근엄한 얼굴, 우견편단(右肩偏袒)의 얇은 불의(佛衣), 건강한 체구(體軀) 등 당당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오른손은 가슴에 들어 시무외인(施無畏印)을 나타내었고 왼손은 무릎 위에 올려 옷자락을 잡고 있는데, 이 옷자락은 인도(印度)의 고식(古式) 옷주름에 기원을 둔 두 가닥의 옷주름 표현으로 손모양과 함께 인도양식(印度樣式)이 많이 나타나 있다.
본존불(本尊佛) 주위에 5구(五軀)의 협시상(脇侍像)이 돋을새김으로 새겨져 있고 광배(光背)가 정교하게 묘사되어 있다. 이처럼 좁은 공간 안에 여러 상(像)과 대좌(臺座), 천개(天蓋)들이 높은 돋을새김과 투각기법(透刻技法)으로 새겨져 있는데 원근법적(遠近法的)인 공간감(空間感)과 입체감(立體感)을 놀라울 정도로 잘 나타내었다.
왼쪽 불감에는 코끼리를 탄 보현보살(普賢菩薩), 오른쪽 불감에는 사자를 탄 문수보살(文殊菩薩)이 있는데 본존의 불감과 같은 수법이다.
이 문수·보현보살의 표현으로 보아 본존불의 석가불(釋迦佛)이 분명하므로 석가삼존불(釋迦三尊佛)을 봉안(奉安)한 불감으로 크게 주목된다.